본문 바로가기
식물

가드닝의 시작 흙에 대한 모든것 두번째

by 메리-가든 2023. 1. 16.
반응형

마사토

마사토는 화강암이 많은 한국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흙이다. 화강암이 풍화작용에 의해 고운 흙으로 변해가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중간 형태의 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사이즈 역시 풍화작용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아주 큰 대립에서부터 거의 흙과 같은 미립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마사토는 일반적으로 입자의 굵기가 있어 공극을 많이 만들기 때문에 통풍이 잘된다. 또 물을 거의 흡수하지 않아 배수성도 뛰어나다. 다만 돌이 풍화작용을 통해 흙으로 변하는 과정의 흙이라 무게가 상당하며, 큰 화분에 마사토만으로 식물을 심는다면 무게가 엄청나게 늘어난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입자가 작아지는 과정에 진흙과 같은 미세입자가 발생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 분갈이를 하지 않으면 화분 구멍이 진흙으로 막힐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 시에는 반드시 세척 마사를 사용해야 한다. 

 

질석 (버미큘라이트)

질석을 고온고압으로 팽창시켜 만든 무균의 광물성 중성 토양으로 가볍고 보수성이 좋다. 원예용상토에 빠지지 않고 들어간다. 실내 가드닝에서 혼합용 토양으로 사용하거나 파종용, 삽목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양분이 없어서 가능) 가격이 비싼 편이고 대체할 수 있는 재료들이 많다. 영어로는 vermiculite라고 하는데, 가열해서 팽창되었을 때 주름 잡힌 모양이 지렁이와 비슷해서 지렁이를 뜻하는 라틴어인 'vermiculare'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원예용 상토에는 5~15% 정도 들어있지만 벼 모종용으로 제조되는 상토에는 50% 가까이 들어있도 하는 주재료이다. 특히 수분 흡수 및 유지 능력이 좋아서 삽목이나 파종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다만 상토나 배합토 내의 질석 비중이 높으면 물 빠짐이 나빠질 수 있다. 

 

난석

일본의 지명을 따서 지은 '휴가토'라는 이름의 제품을 시중에서 주로 '난석'이라고 부른다. 화산암을 가공해서 생산하는 용토로 과거에는 동양란을 심을 때 주로 사용했지만 요즘에는 관엽식물 식재 시 배수층에 깔거나 배수를 돕는 용도로 원예용 상토에 섞어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다른 수입 용토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데다 무게가 무겁지 않고 배수가 잘되는 장점이 있다. 반명, 일단 물을 흡수하면 느리게 마르는 특징이 있어 다른 화산석과 혼합한 혼합난석을 쓰기도한다. 난석의 종류로는 녹소토, 적옥토, 동생사, 휴가토 등이 있다. 이때 녹소토는 도치기현 가누마에서 생산되는 점토를 고온 처리한 용토이며, 적옥토는 일본의 삼나무 숲에서 채취한 화산토를 고온처리한 용토이다. 이 난석은 분진가루가 날리므로 세척 후에 사용하는 것이 식물 생장에 도움이 된다. 

 

바크

전나무의 나무껍질을 잘게 부숴서 만든 용토로, 통기성과 보수성이 좋다. 잘게 부순 나무껍질을 고온에서 찌거나 발표시켜 만드는 용토라 배수성도 좋다.  주로 나무에 붙어사는 서양란, 넝쿨식물 등 착생식물의 식재용토로 사용한다. 브랜드에 따라 품질 및 가격 차이가 큰 편이다. 시간이 지나면 잘게 부서지며 분해되는데, 분해되는 과정에서 곰팡이가 생기거나 이끼가 낀다. 바크는 입자가 크고 가벼우면서 향기가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땅속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햇빛에 닿지 않게 하여 잡초를 방지하여 주고 온도와 습도 유지에도 좋다. 단일 재료로는 공중식물이나 서양란, 호접란 등에 쓰일 수 있으며 , 플랜테리어에도 사용된다. 바크 자체에는 영양분이 거의 없으므로 정기적인 영양분 공급이 필요하고, 상토나 난석과 혼합하여 사용하기 좋다. 

 

수태

습지에서 자라는 이끼를 채취해서 고운살균 후 사용하는 산성 재료로, 주로 착생식물의 용토로 사용한다. 가볍고 물을 함유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지만 통기가 잘되어 건조 속도도 빠른 편이다. 식재용으로만이 아니라 관엽식물의 삽목용, 그리고 베고니아의 잎꽃이용으로도 많이 사용한다. 다른 용토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한번 마르면 물을 다시 흡수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보수성과 통기성이 좋아 화분의 습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항균 작용을 하여 곰팡이, 세균 발생을 억제한다. 이물질이 없는 토양 역할을 하므로 테라리움, 공중식물등에도 사용된다.

반응형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의 적정 습도  (0) 2023.01.17
식물의 병충해 바로알기  (0) 2023.01.17
가드닝의 시작 흙에 대한 모든것 첫번째  (0) 2023.01.16
꽃의 구성 요소들  (0) 2023.01.16
식물 잎의 종류와 생김새의 이유  (0) 2023.01.16

댓글